안전관리기술 6대 과제 중 5건 국산화율 0%

정부가 수소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데 비해 관련 원천기술 확보는 더딘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안전관리 기술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수소경제 로드맵'에 따르면 수소차 보급을 위해 2022년까지 전국에 수소충전소 310개소, 2040년까지 1200개소 이상 확보할 계획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아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다.

산업부는 액화수소 및 액화충전소 보급 계획을 추진 중이다./이미지=산업부

국회 산업위 소속 양금희 의원(국민의힘)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제출받은 ‘수소충전소 안전관리 기술개발 현황’에 따르면 6대 분야 추진 과제 중 5건의 국산화 진행률이 0%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은 한 개 분야도 선진국 기술 대비 50% 수준에 그쳤다.

정부는 지난해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한 이후 올해 ‘수소경제법’ 제정에 이르기까지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지원책과 제도적 기반을 마련 중이다.

이미 7000대가 넘는 수소전기차가 도로를 누비고 있고 국회를 포함 37곳에 설치된 수소충전소가 운영 중이다.

하지만 수소충전소의 핵심인 안전관리 기술개발현황은 제자리 걸음이다. 양금희 의원에 따르면 ‘정밀안전 진단’ 분야의 3대 과제는 아직까지 하나도 국산화를 이루지 못했다. 수소가 폭발하는 원인인 정전기 제어 등 수소충전소의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한 필수 기술 요소를 갖추지 못한 상태다.

또 다른 항목인 ‘안전성 평가 분야’에서는 3대 과제 중 수소충전소 위험성 평가 프로그램만이 미국과 독일 대비 50% 정도 기술 추격을 이룬 정도다.

수소충전소 관련 국내 안전 기술은 실증 단계에 불과하다. 이제 막 수소충전소 법정계량 표준모델 실증을 시작한 단계다.

산업부는 '2020 에너지 기술개발 실행계획'에 따라 수소충전소 고장진단 시스템 및 안전관리 기술 과제에 120억원 상당을 투입할 예정이지만 60개월 이상 소요될 예정이다.

이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로드맵에 따라 2030년까지 수소충전소 310개소 건립을 목표로 삼고 있다. 앞으로 한 달에 10개씩 건설해야 맞출 수 있는 속도다.

양금희 의원에 따르면 현재 수소충전소는 외국산 부품들을 주로 활용해 건축 중이다. 수소충전소 부품 60%가 외국산이다.

양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산업 및 에너지 정책은 목표 달성에만 급급해 국내 산업의 기술 수준과 보급목표 간의 탈동조화 현상이 계속 되고 있다”면서 “진정한 수소경제 실현을 위해서는 실적 달성에 급급하기보다 기초 토대부터 차근차근 다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