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14일 정부의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이 발표된 이후 에너지 분야 기업들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한국판 뉴딜의 핵심 정책으로 '그린 뉴딜'이 거론되면서 녹색산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판 뉴딜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비대면 일상화와 디지털 전환을 배경으로 시작됐다. 지난 5월 기획재정부가 내놓은 '한국판 뉴딜 추진방향'에서 '그린 뉴딜'은 빠져 있었다. 당시만 해도 '디지털 인프라 구축'과 '비대면 산업 육성', 'SOC 디지털화'가 핵심 전략이었다.

@Pixabay

불과 두 달 사이 '디지털 뉴딜'과 함께 '그린 뉴딜'이 핵심 정책으로 떠오르면서 논란이 일었다.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과 함께 탈원전 등 민감한 사안들이 이슈화되면서 정치권에서도 공방이 이어졌다.

한국형 그린뉴딜은 기후변화 적응, 온실가스 감축, 녹색산업 확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언뜻 보면 디지털 뉴딜과 그린뉴딜의 접점을 찾기란 어려워 보인다.

하지만 그린뉴딜은 디지털 뉴딜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린뉴딜은 에너지 효율과 관련이 있다. 에너지는 디지털 인프라를 통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다소 거창해 보이는 기후변화에 따른 저탄소 녹색성장도 따지고 보면 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에서부터 시작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계량기를 통해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경우 자연스레 온실가스 감축으로 이어진다. 디지털 인프라를 활용한 에너지 효율 개선이야말로 다름 아닌 그린뉴딜인 셈이다.

그린뉴딜은 디지털 뉴딜의 연장선 상에 있다. 에너지의 디지털화를 통해 사회경제적 비용을 절감하자는 얘기다. 그러한 비용을 신기술 분야 인재 양성에 활용하자는 뜻이다.

그린뉴딜은 디지털 기반의 녹색전환에 다름 아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인프라를 갖춘 우리나라야말로 '한국형 그린뉴딜'을 추진하기 위한 최적의 테스트베드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