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승일 교수 "소규모 분산형 신속 보급" 주장
전기산업진흥회 통일협의회 세미나서 제기

세미나 주최측 인사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남북경협 국면에서 남북을  넘어선 기간전력망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북한지역에 중앙집중형 방식의 전력망보다는 분산형 전원을 북한 주민들에게 먼저 보급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지적이 니왔다.

이같은 주장은 한국전기산업진흥회 주최로 26일 서울대 글로벌공학관에서 열린 '님북 전기산업 협력 및 진츨 전략세미나'에서 나왔다.

문승일 서울대(전기공학) 교수는 "북한의 전력상황은 정확히 파악된 자료가 현재로서는 없지만 다양한 자료를 검토한 결과 전력주파수는 남한과 같은 60헤르츠이지만 정격주파수가 60미만의 불안정한 상황을 보이고 있고 정격전압도 역률실적이 매우 저조하고 설비고장 등 전력부족에 의한 정전이 하루에도 다수 발생하는 등 전력품질이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문승일 교수가 남북 전력망에 대해 세미나 기조발표를 하고 있다.

문 교수는 이런 북한의 노후한 전력상황에서 우리정부가 북한 전력망을 리모델링하기 보다는 전면적인 새판을 짜는 것이 비용면에서나 효율성 면에서 바람직할 것으로 본다고 지적했다.

문 교수는 전력교류는 남북만의 연결을 의미해서는 안되고 러시아 중국 일본을 연결하는 그리드 형식의 연결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문 교수는 소규모 신재생(태양광) 100만개를 북한 주민들에게 5년안에 보급한다면 현재 정부가 진행하는 남북교류 및 비핵화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대규모 발전설비를 건설하거나 송전망을 구축하기에는 시간이 촉박하므로 이를 통해 북한의 에너지난을 극복하도록 정부가 나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문 교수는 이에 소요될 예산을 1조원 규모로 추정했다.       

이날 세미나는 한국전기산업진흥회 통일연구협의회가 8번째 개최한 것으로서 한국전기연구원, 숭실대 산학협력단, 서울대 전력연구소가 공동 주관했다.

특히 500여명의 전기산업 관련 산학연 관계자들이 참석하는 등 현재 진행되는 남북 교류에 대한 기대감을 표출했다.
 

장세창 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장세창 전기산업진흥회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통일연구협의회가 가동한 지 4년이 되었다며 통일협의회 설립 당시에는 갑작스런 통일이 될 지도 모르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현재는 그럴 가능성보다는 남북이 공존하는 통일, 점진적인 통일의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며 "통통통, 통일은 남북이 서로 소통하고 전기가 통하면 감정이 싹트듯 전력계가 통일의 주춧돌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남과 북을 하나로 잇는 새로운 전력망(문승일 서울대 교수) ▲남북관계 특별강연(강성환 통일부 경제사회분석과장) ▲최근 한반도 정세진단과 한반도 신 경제지도 구상(홍순직 국민대 한반도 미래연구원 연구위원) ▲북한 에너지 안정과 한반도 평화벨트(최세열 평양과기대 교수) ▲동북아 수퍼그리드 추진현황(정규원 한전 부장) ▲남북재생에너지 협력과 실현가능성(김윤성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박사) ▲남북한 풍력발전 협력방안(김흥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 ▲북한 전력상황 및 전력설비(윤재영 한국전기연구원 본부장) 등 주제발표 및 특강이 이어졌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