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에너지밸리토론회 개최

25일 열린 에너지밸리 토론회에서 나주시 관계자들은 한전의 에너지밸리연구개발센터가 나주에 유치돼야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에너지밸리의 성공적인 모델을 위해서는 한전의 에너지연구개발센터가 나주에 조기에 정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전은 당초 나주 혁신산단에 한전 에너지밸리연구개발센터를 마련한다는 방침이었으나 광주광역시가 유치에 참여함에 따라 아직까지 결정을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나주시와 나주시의회는 25일 에너지밸리 토론회를 갖고 한전 R&D 센터의 조기 구축으로 에너지밸리 추진이 가속화되길 바란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나주시 에너지정책자문위원회 이웅범 위원은 “한전 에너지밸리 R&D센터 유치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데, 한전이 처음 에너지밸리 조성계획을 밝혔을 때의 초심으로 돌아가면 쉽게 해결될 문제”라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그는 특히 “나주시가 에너지밸리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시민사회단체 등 전문가 그룹의 참여가 필요하며 시 행정이 시민들에게도 투명하게 공개돼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에너지밸리추진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산업계 대표로 참여한 혁신산단 입주 예정업체인 글루잭테크의 이진섭 대표는 “한전의 에너지밸리 R&D센터의 조기구축을 기대하고 혁신산단을 선택했는데, 구축이 지연되고 있어 안타깝다”며 “한전은 에너지밸리 R&D센터를 신속하게 구축하여 중소기업에서 생산한 제품을 실증시험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강인규 나주시장은 인사말을 통해 “에너지밸리가 단순히 기업 유치를 넘어서 빛가람과학단지로 발전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광주연구개발특구 확대 지정추진, 혁신도시를 전기차의 미래에너지 중심의 명품도시로 만들어가는 스마트에너지시티 조성, 핵심도시와 혁신산단을 소프트웨어 중심산업으로 이끌 소프트웨어클러스터 구축, 캠퍼스와 산단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마이크로그리드 구축사업, 메가와트 태양광 실증단지 구축 등 나주시의 에너지밸리 핵심 정책들이 차근차근 추진되고 있다”고 평가하고 “하지만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하고 지혜를 모아야 할 부분도 많다”고 지적했다.

강 시장은 “한전의 에너지밸리연구개발센터 유치, 혁신산단의 산학융합지구 지정은 에너지밸리의 골격과 토대를 만들어가는 매우 중요한 과제”라며 “오늘 토론회가 그동안 추진해온 에너지밸리 계획들을 진단하고 향후 발전방안과 협력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시민과 산학연관의 새로운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소중한 밑거름으로 큰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홍철식 나주시의회의장도 환영사에서 “에너지 관련 기업의 나주 유치로 지역경제 부흥의 발판이 마련된 만큼 보다 책임 있고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면서 “에너지 신산업 성장거점 구축을 위한 에너지밸리 토론회 개최를 통해 한전과 전라남도, 나주시가 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이 제시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제발제는 최창선 나주시 혁신도시에너지과 과장의 ‘나주시 에너지밸리 계획 추진경과보고’, 박복길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단장의 ‘에너지신산업 SW융합클러스터 조성계획’이 발표됐다.

이날 토론회에서 김동민 동신대 교수는 “나주시가 에너지밸리 성장거점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전기차 선도 지역으로 선정돼야하며 스마트도시를 위해 전기버스 도입, 전기농기계, 3륜 전기차 활성화가 이뤄져야한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빛의거리, LED거리 등 랜드마크 확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이를 위해 ▲협력네트워크 구체화 필요-나주시가 플랫폼 역할 ▲중앙정부의 자원을 활용한 에너지밸리 추진 ▲에너지밸리 특별법 추진 등의 문제 제기를 했다.

박주영 녹색에너지연구원 박사는 “기술적 측면에서 마이크로그리드 실증을 통한 최적 설계 및 운영기술을 확보하고 사물인터넷(loT)기술도입을 통한 에너지 효율화 및 사업화 모델 가능, EMS, PMS 등 실증 및 산업단지 실증을 통한 다양한 원천기술 개발, loT 기반 신규 DR 서비스 및 BM 창출, 에너지 프로슈머 및 에너지신산업을 추진하는 새로운 서비스, 제품, 운영기술 발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경제·산업적 측면에서 마이크로그리드 상용화로 인한 수익창출과 해외시장 개척, 계통연계용량 부족에 따른 내부 전력거래 및 대안으로 수익모델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사회적 측면에서 표준화 등 연구개발 인력양성, 기술의 국제 경쟁력 확보, MG기반의 에너지 절감 및 에너지활용으로 국민 구성원간의 갈등 해소가 이뤄져야한다”고 지적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