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이유로 전량 수입 의존에 대응
지자체 정수용 활성탄 공공비축 추진
내년까지 국내 수요 2.3개월분 비축

[산경e뉴스] 환경부·조달청·한국수자원공사가 경제적 이유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활성탄 안정적 공급위해 힘을 모았다.

세 기관은 지난 17일 대전 대덕구 한국수자원공사 본사에서 정수장의 정수처리에 활용되는 활성탄의 안정적인 수급과 공급을 위한 ‘국내 고도정수처리용 활성탄 국가비축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2025년까지 연간 국내 수요의 약 2.3개월분에 해당하는 총 8200㎥, 120여억원의 활성탄 비축을 목표로 한다.

환경부는 비축창고 구축사업의 지원과 국내 활성탄 수급을 총괄·조정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조달청은 비축자금을 활용하여 활성탄 직접 구매, 대금지급 및 정산 관련 업무 등을, 수자원공사는 비축창고 건설, 활성탄 보관 관리 및 재고순환 등의 업무를 하면서 기관 간 유기적 협조체제를 구축한다. 

17일 임상준 환경부 차관(가운데)이 김윤상 조달청장(왼쪽 첫째), 윤석대 수자원공사 사장과 활성탄 공공비축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17일 임상준 환경부 차관(가운데)이 김윤상 조달청장(왼쪽 첫째), 윤석대 수자원공사 사장과 활성탄 공공비축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활성탄은 정수장의 고도정수처리시설에서 수돗물을 만들 때 최종 여과 과정에서 쓰인다. 활성탄에 있는 미세한 구멍이 수돗물의 냄새물질 등 미량유해물질을 흡착한다. 

활성탄은 야자나무 껍질, 석탄 등의 원료를 고온에서 태워 표면적을 넓히고 흡착력을 증대시키는 과정을 거쳐 생산한 흑색다공질 탄소 물질(숯과 비슷)이나 국내에서는 원료가 되는 석탄(유연탄)이 생산되지 않고 제품 생산 단가가 안 맞는 등 경제적 이유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제적 정세에 따라 수급불안 가능성이 높은 품목으로 정부에서는 활성탄을 지난해 7월 긴급수급조절물자로 지정한 바 있다.

환경부는 이번 업무협약 체결로 대외 의존도가 높은 활성탄을 선제적으로 비축하여 국제적 공급망 장애 발생 시에도 안정적인 공급 체계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했다. 

낙동강유역 구미정수장에 비축용량 4200㎥ 규모로 ‘낙동강유역 활성탄 국가비축시설 구축사업’을 내년 12월 준공한다. 

환경부는 안정적 공급망 확보 효과를 지자체와도 공유할 예정이다.

임상준 환경부 차관은 “상시화된 국제적 공급망 위기 상황에서 긴급수급조절물자인 활성탄을 선제적으로 정부가 비축하고 관리하기로 한 협업 사례라는데 큰 의미”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고도정수처리에 필요한 활성탄의 수급 안정성을 확보하여 국민에게 안전한 먹는물 공급에 지장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윤상 조달청장은 “국민들에게 안전한 먹는 물 공급을 위해 관계기관이 함께 공급망 대응 수단을 마련키로 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국민생활과 밀접하면서 공급망 위기에 노출된 품목을 지속 발굴, 공공비축을 활용해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대 수자원공사 사장은 “수돗물 생산 핵심원료인 활성탄을 정부와 협업을 통해 선제적으로 비축해 안정적 수급체계를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차질없이 용수를 공급하여 국가산업 육성을 지원하고 국민께 깨끗한 수돗물을 상시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