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에너지가격 변동성 상시 대비해야...저탄소-무탄소 전원 중심 에너지믹스 절실
올 연말 유가 상승 요인 존재...유류세 인하조치 8월 끝나면 휘발유 가격 10% 인상
재생e-ESS 탄소중립 달성해도 원전, 수소, CCS 추가하면 발전비용 32~53% 감소

[산경e뉴스] 올 초 에너지경제연구원은 국제 유가를 두바이유 기준 배럴당 84.21달러로 전망했다. 

김현제 에너지경제연구원 원장
김현제 에너지경제연구원 원장

러-우 전쟁이 발발한 2022년 배럴당 96.41달러 보다는 낮지만 2021년 69.41달러보다는 강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았다. 

이는 오펙(OPEC+) 회원국의 감산합의 이행과 세계 경기침체 우려 등을 반영한 전망치이다.

올해 상반기 국제 유가는 배럴당 79.1달러로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전망치보다 배럴당 3달러 가량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중국 석유수요 회복세가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다는 점을 전망 오차가 발생한 주요 원인으로 지목할 수 있다. 

시장은 시진핑 3기 체제가 출범하면서 대규모 경기부양조치가 단행될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예상보다 미진한 규모의 경기부양책이 발표되었고 중국의 부동산 경기 침체와 미국과의 분쟁 등으로 중국의 석유수요 회복 기대감이 크게 꺾였다. 

이로 인해 국제 유가는 한때 배럴당 70달러를 위협받기도 했다. 

다만 OPEC+의 깜짝 감산이 석유수요 감소 우려를 상당부문 만회하며 국제 유가는 소폭 반등했다. 

OPEC은 세계 석유시장 안정을 명분으로 올해 4월 1.16백만b/d 규모의 감산을 발표했는데 지난해 11월 이후 OPEC+ 감산규모는 총 3.56백만b/d까지 증가했다. 

세계 수요의 3.5%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올해 하반기 국제 유가는 상반기보다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하반기로 갈수록 석유 초과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 뿐만 아니라  국제에너지기구(IEA)와 美에너지정보청(EIA)도 하반기 석유 수요가 공급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OPEC+의 감산 합의 준수 여부가 유가 상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겠지만 여름철 이동수요 증가와 미국의 허리케인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한 일시적 공급 차질 등이 발생하는 계절적 요인들은 하반기 유가 상승 전망에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다가오는 겨울, 유럽 대륙에 예상치 못한 한파가 찾아온다면, 2022년 경험했던 국제 에너지가격의 극심한 변동성이 언제든 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정부는 '2023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7월 발표하고 하반기 물가인상률을 2.6%로 전망했다. 

6월 소비자물가 인상률 2.7%를 고려하면 적정수준으로 보이지만 에너지가격이 현 수준을 유지한다는 전제가 내포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그 전제가 달라질 수 있다. 

국제 에너지가격이 폭등하던 시기에 국민 부담 완화를 목적으로 시행했던 유류세 한시적 인하조치가 오는 8월 31일 종료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유류세 인하조치가 일몰될 경우 수송용 연료인 휘발유와 경유의 가격은 10% 이상 인상될 전망인데 이는 물가상승의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앞서 논의한 대로 하반기에는 초과수요 발생으로 인해 국제 유가의 상승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비하여 단계적인 유류세 환원 조치를 포함, 에너지가격이 물가에 미칠 영향에 대한 선제적이고 면밀한 검토가 이행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와 이에 따른 기상이변 등으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은 자체적인 온실가스감축계획 즉, NDC(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를 수립하고 이행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NDC, 더 나아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화석연료를 감축하고 원전, 재생에너지를 포괄하는 저탄소-무탄소 전원을 중심으로 에너지믹스를 개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재생에너지 보급은 NDC의 감축대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잠재량, 주민 수용성, 경제성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선결과제에 직면해 있다. 특히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는 전력계통 안정성을 저해한다.

따라서 발전부문의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를 보완할 무변동성 청정발전원이 필요하다. 

재생에너지와 함께 원자력, 수소 등과 같은 무탄소 에너지원을 적극 활용해야 탄소중립의 실현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것이다. 

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의 적절한 역할 분담을 통해 균형잡힌 에너지믹스의 조정이 요구되는 이유이다. 

적정 에너지믹스의 중요성은 전력망 신뢰도 측면 뿐만 아니라 경제성 측면에서도 찾을 수 있다. 

지난 2021년 미국 클린에너지테스크포스는 캘리포니아주가 2045년 탄소중립을 달성한 상황을 전제로 전력믹스 변화가 발전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재생에너지와 ESS(에너지저장장치) 조합을 활용하는 경우에 비해 원전, 수소, CCS(탄소포집저장) 등의 자원을 추가적으로 활용하는 경우 발전비용이 32~5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2045년 탄소중립을 달성하면서도 전력가격은 현재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캘리포니아 역시 전력화 가속으로 인한 전력수요 증가와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를 전력공급 측면에서 도전적인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에너지믹스 조정과 기술개발을 통해 전력가격의 급등 없이 탄소중립을 실현하면서 전력망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원전은 직접적인 탄소배출 없이 많은 양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대안이다. 

그리고 CCS, 수소 기술의 개발은 화석연료 발전소의 좌초자산화 방지 또는 청정에너지원 발전소로의 설비전환을 가능케 하여 탄소중립 이행과정에서의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재생에너지에 더해 우리가 선택 가능한 청정에너지 대안들을 폭넓게 고려해야 하는 이유이다.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