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e뉴스] 고유가 상황에서 원전생태계 복원을 통해 에너지안보 문제에 적극 대처하겠다고 밝힌 윤석열 정부가 전력계통 안정성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정부가 계속 회의를 통해 강조하는 것은 태양광 설비 밀집지역에 대한 계통 안정화 방안이다.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한 재생에너지 확대정책으로 5기가와트 이상이 태양광발전으로 늘어난 것에 대한 대책이다. 

문재인 정부에서 재생에너지 계통확보보다는 확대정책에 주력한 까닭에 이에 대한 추가 대책이 필요한 것은 맞다.   

산업부가 눈여겨보는 것은 전력설비 고장에 따른 저전압 현상 등이 발생할 경우 인근 지역 태양광 설비로 확대돼 계통 불안정성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산업부는 전남, 전북, 경남 일부 지역 등 육지 태양광 설비 밀집지역에 대해 저주파수와 함께 저전압 유지성능 구비를 위한 인버터 성능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전국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큰 저주파수 유지성능, 재생에너지 보급 속도가 빠른 제주 지역 중심으로 태양광 인버터 성능개선을 추진했으나 태양광 설비 보급이 크게 증가하면서 육지 일부 지역의 경우도 저전압 유지성능 미비로 인한 계통 불안정 우려가 전문기관의 기술적 검토 결과 확인됐다. 

전국 태양광 중 주파수 유지성능을 구비한 설비는 48%이고 전압 유지성능을 보유한 설비는 1.5%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설비의 전력계통에 대한 책임성 강화는 재생에너지 발전이 다른 발전원과 함께 안정적인 전력수급에 기여하고 지속적인 성장과 보급 확대를 위한 선결과제다. 

문제는 원전과 재생에너지가 충돌하는 문제다. 원전은 출력을 쉽게 낮추기 어렵다. 반면 재생에너지는 간헐성 문제로 재생에너지만 믿고 잔력계통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결국 재생에너지와 원전이 동일시간대에 전력을 생산하고 그것이 과잉송전된다면 어디선가 출력을 감발해야 한다. 너무 아깝다. 

노후원전 수명연장을 추진하는 현 정부로서는 지난 정부 5년간 급격히 늘어난 재생에너지가 계통안정성에 변수가 되고 있는 것이다. 

계통안정성 문제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전국을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계통망을 재정립하는 길 뿐이다. 

원전을 기저전원으로 하는 기존 계통 방식으로 재생에너지를 삽입한다는 것은 ESS 확충 등 어마어마한 자본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을 받아들여야 한다.

말로만 원전과 재생에너지의 조화를 외치는 것은 안되는 일을 될 것처럼 거짓말하는 결과일 수 있다. 

정부가 좀더 솔직히 대안을 찾는 모습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