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기후환경회의가 4월29일 공식 출범했다.

기후환경회의가 국민 의견을 수렴해 미세먼지 문제에 관한 범국가적 대책과 주변 국가와의 협력 증진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선 용두사미로 그쳤던 기존 자문기구의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선 화석연료발전 비중과 노후경유차를 감축하고 에너지효율과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기 위한 과감한 정책 전환이 요구된다. 미세먼지 발생과 기후 위기를 부추기는 기존의 경제구조를 개혁하기 위해선 당장 부담이 따를 수밖에 없지만 정부는 이를 핑계로 들어 이러한 개혁을 외면해왔다.

기후환경회의가 요금 인상이나 일부 산업의 위축에 따른 저항을 의식한 미봉책이나 추상적 방향을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서 미세먼지와 기후변화 해결이 근본적으로 사회에 더 유익하다는 관점에서 실질적 해법을 분명히 제시해야 한다.

정부는 미세먼지 대책에 대한 책임을 떠넘기거나 자문기구 권고를 무시해선 안 된다. 국민 참여를 통해 미세먼지 대책을 논의하는 과정은 유의미하지만 정부가 정책 의지를 통해 해결해야 할 과제를 공론화로 미루지 말고 선제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지난 2월 대통령 직속 재정개혁특위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경유세 조정과 화석연료 보조금 축소를 권고했지만 기획재정부는 이를 외면해 자문기구의 역할을 무색하게 했다. 정부가 자문기구의 권고를 존중하고 실행에 옮기지 않는다면, 기후환경회의 역시 자문을 위한 자문기구로 그칠까 우려된다.

기후환경회의 위원장을 맡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파리협정 체결의 주역이다. 기후환경회의가 단기간 성과에 몰두하기보다는 미세먼지와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