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M 설계, 빅데이터·AI 활용, 가상시공 등…기술발전 로드맵 수립

2차원 설계도면에서 3차원 정보모델로, 인력·경험 중심 반복 작업에서 데이터 기반 시뮬레이션으로, 건설이 낡은 전통 산업의 이미지를 벗고 첨단 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건설 전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하는 기술혁신이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025년까지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기반을 구축하고, 2030년까지 건설자동화를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을 수립하고 지난 달 31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위원회에 상정했다.

영국, 일본 등 해외 건설 선진국은 스마트 건설기술의 중요성을 일찍이 인식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몇 몇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나 현장에서의 활용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국토부는 공공과 민간이 함께 건설기술을 혁신해 나갈 수 있도록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을 통해 발전목표를 명확히 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이행과제를 제시했다.

로드맵에서 제시한 건설기술의 발전 방향은 우선 건설 과정에서 생성되는 각종 정보를 공유·유통하고, 빅데이터 및 시뮬레이션을 적극 활용해 건설을 경험 의존 산업에서 정보 기반 산업으로 전환키로 했다.

또 건설 분야에 정보통신기술(ICT), 드론·로봇 등 다른 분야의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알기 쉬운 3D 시각 정보를 제공하며, 설계·계획단계부터 시공자·운영자 및 이용자의 참여 기회를 확대한다.

구체적인 발전 목표는 단계적으로 구분, 제시했다. 설계 단계서는 측량과 건설정보모델링(BIM)을 활용한 디지털정보모델을 정착시킨 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설계 자동화를 추진하고 시공 단계서는 건설장비 자동화, 조립시공 제어 등 기술 개발 후 시공 전반을 자동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유지관리 단계서는 로봇과 드론이 보다 신속 정확하게 시설물을 점검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디지털트윈을 통한 시설물 유지관리 체계로 발전시킨다는 목표다.

국토부는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이행방안을 함께 제시했다.

먼저 민간의 기술개발을 유도한다. 공공발주제도를 활용해 스마트 기술 개발여건을 조성하고 기술의 진입장벽이 되는 2D 기반 납품기준 등 규제를 개선한다.

또 모태펀드를 조성해 민간자본의 유망기술 투자를 활성화 하고, 기존 기술과의 분쟁해소를 지원하는 절차도 도입하며 스마트 기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사례집을 배포하고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홍보도 병행한다.

이와 함께 스마트 건설기술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공공의 역할도 강화한다. 공공의 기술개발이 필요한 분야는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을 적극 추진해 핵심기술을 보급한다.

스마트 건설기술의 핵심인 BIM이 시장 전반에 확산될 수 있도록, 공공사업에 BIM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고 관련 제도를 정비한다. 토지주택공사, 도로공사, 철도시설공단 등 발주청을 통해 스마트 건설 시범사업을 시행해 성과를 공유하고 제도개선 사항도 도출한다.

이 밖에 기술혁신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스마트 생태계도 조성한다. 지난 9월 개소한 건설기술연구원의 스마트 건설 지원센터를 통해 스마트 건설기술을 개발 보급하는 한편, 관련 창업기업을 지원한다.

건설기술자 교육훈련기관에 스마트 건설기술 교육과정을 신설하는 등 인재 양성의 기반을 구축하고 아울러 설계자, 연구자 등이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2003년부터 운영 중인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을 오는 2020년까지 지식플랫폼으로 개편한다.

한편, 국토부는 건설기술 혁신로드맵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필요한 법령 등 규정개정, 연구개발 사업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관계부처, 민간기업, 학교 및 연구기관 등과도 긴밀히 협력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