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대표 기업, 하전 등 공기관, 금융기관이 한 자리에 모여 에너지신산업 활성화와 금융 애로 해소를 위한 킥오프 미팅을 지난 24일 열렸다.

산업부는 이번 회의를 통해 에너지신산업의 투자, 보급의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고, 수출도 본격화되는 추세이나, 성공사례를 확산하고 해외진출도 확대하기 위해서는 규제, 금융, 민원 등 세 가지 문제 해결이 필수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동안 정부는 에너지신산업 정책을 추진하면서 장밋빛 구상을 내놓고 실질적인 지원책이 제대로 나오지 않았다는 데 공감을 하게 됐다. 최근 들어 결국 사업화를 위해서는 파이낸싱이 절대적이라는 인식을 하게 된 것으로 파악된다. 어찌보면 우리나라는 파이낸싱에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외국의 사례를 보면, 대형 프로젝트의 성공열쇠는 결국 최우선으로 금융 파이낸싱을 이뤄져야 사업 진행이 추진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우리의 경우는 선후가 뒤바뀌는 일이 종종 있어 왔다. 결국 자금을 확보하지 못해 사업을 철수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최근 들어 산업부가 시중은행, 기술보증기금 등 금융기관과의 협의회를 구축해 에너지신산업의 부흥을 일으키겠다

는 의지는 매우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올 들어 산업부는 금융과 투자자 연계 사업화를 위해 적극적인 가교역을 자청하고 나선 상황이다. 산업부 김핚도 에너지자원 실장은 “에너지신산업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어 업계의 투자불확실성 해소와 금융기관들의 투자대상 확대가 함께 이뤄진다면 업계와 금융계가 윈-윈(win-win)할 것”이라며 “에너지신산업 확산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 금융, 민원 등 세 가지 문제를 관계부처·지자체·업계·금융계와 머리를 맞대고 동시에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에너지신산업은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지만 실제 투자로 이어지질 못했다. 그동안 한전 등 공기관을 중심으로 추진해온 것이 전부인 셈이다. 때문에 민간 기업들은 투자를 위한 프로젝트 실행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었다는 전언이다. 에너지신산업 분야에 참여하려고 해도 자금이 부족한 기업은 어디서 파이낸싱을 해야 할지 우왕좌왕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 업체 관계자는 태양광과 ESS(에너지저장장치)을 연계한 프로젝트를 추진하려다, 시중은행을 찾아갔지만 담보 때문에 결국 사업을 보류 할 수 밖에 없었다고 전했다. 그만큼 신규 투자로 인한 리스크에 대한 파이낸싱이 어려운 것이 현실적인 직언이다. 때문에 자금 조달이 이뤄져야 실제 사업화가가능하다는 말이 절로 나오는 것이기도 하다.

정부는 이번 기회를 통해 기업과 금융기관과의 적극적인 투자 파이낸싱이 이뤄질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만 에너지신산업이 성공할 수 있다. 미래 한국경제의 지표가 될 에너지신산업의 활기를 불어넣을 금융·투자가 동시에 병행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주길 바란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