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신기후체제인 파리협약이 정식 발효됐다. 우리나라는 BAU대비 37%를 감축하기로 했다. 191개국이 참여하는 파리협약 발효는 세계는 4차 에너지혁명시대로 돌입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4차 에너지혁명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바로 빅데이타를 이용한 에너지 융·복합 시대로의 전환을 예고한 것이라고 답할 수 있다. 그렇다면 융복합 시대의 에너지와 이산화탄소 저감은 어떤 방향성을 가지게 될 것인가에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이산화탄소 37% 감축 중 전력 등 발전분야가 책임져야 하는 량이 25.7%에 해당한다. 결국 신기후체제는 발전산업 등 전통적인 화석연료 시대의 대전환을 예고하고 있다는 점이다. 화석연료을 줄이는 대신에 신재생에너지 등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을 확보해야 한다는 새로운 테마주가 등장하게 된다. 기술적으로는 초고효율 제품들이 등장할 것이며 기술투자도 동시에 수반될 것으로 보인다.

결국 전력ICT, 에너지기술 등 융·복합형 시장중심의 에너지혁명 시대가 도래할 전망이다. 신재생 등 에너지신산업에 대한 확고한 정책방향이 세워서 신기후체제에 대비해야 한다. 에너지신산업과 타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새로운 에너지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미 우리라는 정보통신의 기술적 우위를 기반으로 전력과 ICT의 결합에 상당한 기대감을 갖고 있다. 여기에 전기차, ESS, BEMS, FEMS 등에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중에 있으며 이를 적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제 신기후체제에 대비한 에너지스시템, 팩토링 도입이 불가피한 상황이 됐다.

또한 신규 에너지인프라 투자에 있어 민간투자를 유도하고 이에 대한 법적 장치를 마련해 줘야 시장이 활력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에너지가격기능을 정상화한다. 우리나라 에너지가격 구조를 보면 업종간, 산업별로 교차되는 비정상적인 에너지가격 구조를 갖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도 최근 전기요금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고민하면서 에너지가격 기능에 대해서도 논의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가격구조 기능 개선 없이는 신규 투자를 유도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신기후 체제하에서 4차 에너지혁명 시대는 다양성과 새로운 비즈니스 폼이 구축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선결해야 할 것이 있다면 정책 플랫폼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으면 탁상공론에 그칠 수 있다는 점이다.

에너지 융·복합 시대는 기술과 정보가 결합하는 차세대 에너지신기술이 대세를 이룰 것으로 경제성 측면에서는 대가를 치러야 할 부분이 많다는 점이다. 때문에 4차 에너지혁명은 기술과 정보, 그리고 경제성이 어우러진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정책수반이 동반돼야만 한다. 동시에 정책 수반을 위해서는 재정마련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그동안 신재생 등 비전통 에너지원의 경우 상당부분 재정적 어려움 때문에 기술적 진보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상기할 때 과거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는 재정적 뒷받침을 수반하는 정책이 마련되길 바란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