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에너지저장장치)는 재생에너지와 뗄레야 뗄 수 없는 동반자 관계다. 재생에너지가 기저전원으로 응당 대우를 받으려면 ESS는 필수적이다.

날씨와 관계없이 재생에너지가 기능하려면 에너지저장장치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정부가 에너지전환정책을 시행하며 재생에너지에 ESS를 설치하면 가중치를 두배 이상 인정해준 이유다. 

그런데 최근 ESS업계가 고사위기에 처했다는 소식이다. 

내년부터 ESS에 주던 가중치를 정부가 주지 않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물론 정부는 대안으로 재생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공공 ESS를 설치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했지만 시장에서의 반응은 이와는 달리 냉랭하다.  

이와관련 최근 한국ESS산업진흥회가 정부에 건의하는 형식으로 제안서를 발표했다. 성명서 형식이 아닌 제안서 형식이란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정 이익단체가 정부에 실질적인 요청을 한 것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ESS산업진흥회는 그동안 ESS 사업에 참여해 노하우를 보유한 우수 중소중견 기업 일거리가 공공 ESS 사업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기술적으로 공공 ESS가 현재 기준으로 6만여개에 달하는 재생에너지 발전소에 대응할 수 있는지도 미지수라는 것이다. 실효적인 대안이 없으면 차라리 현재의 체제를 유지하는 편이 옳다고 항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ESS 상용화와 대량 보급에 성공해 보급량과 기술력에서 단연 세계 1위에 올라 있다. 

발전소 수준의 대용량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ESS는 남는 전기는 저장하고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전력산업 분야의 획기적인 발명품이다. 향후 가정용 및 소용량 ESS가 실생활에 보급돼 사회적, 문화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주며 인류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게 될 것이라는데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은 없다.

ESS산업진흥회는 정부에 컨트롤 타워 부재 해소, RPS 제도 변화 필요, 수출화 전략지원을 주문하고 나섰다.

조변석개하는 정책으로는 시장경제의 마음을 끌어안을 수 없다. 물론 ESS활성화 정책으로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려고 했던 정부의 방침을 돈벌이로 악용하는 부작용이 생겨 ESS 가중치를 없애기로 한 정부의 입장은 이해할 수 있다. 

시시비비를 가리기 어려운 이 문제에 대해 산경에너지도 깊은 취재를 하고는 있으나 당장 누가 옳고 그름을 가리기 쉽지는 않아 보인다.  

정부는 장기적 관점에서 정책의 안정성을 끌고 가야한다. 그래야 시장은 호응할 수 있다. 이 점을 강조하고 싶다.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