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10년 넘도록 1천억원 이상이 투입된 신에너지기술 IGCC(석탄가스화복합발전)가 퇴출위기에 처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소영(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화석연료인 석탄과 유류를 이용하여 생산된 에너지를 신재생에너지에서 제외하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11일 대표발의했다.

이 법안의 핵심은 현행 신재생에너지법은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목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이용과 보급을 촉진하고 있으나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은 신에너지로 분류됐음에도 천연가스복합발전보다 온실가스를 2배 더 배출하는 등 법에 맞지 않기에 더이상 신에너지로 볼 수 없다는 논리다. 

심지어 건설비용은 천연가스복합발전의 약 4배나 되는 등 경제성이 없다는 논리다. 

신에너지이기 때문에 서부발전이 가동하는 태안IGCC 1기에 REC 발급으로 지원한 금액만 700억원에 달한다.

IGCC(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는 석탄을 고온고압 상태에서 가스로 변환시킨 뒤 이 가스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다. 

IGCC는 2006년 국가연구개발과제로 선정돼 에너지기술평가원과 한국서부발전이 기술개발에 착수, 2018년 연구가 완료된 사업이다. 총 공사비 1조3760억원이 투입됐으며 상업운전은 2016년부터 시작했다. 설비용량 38만kW(송전 30만kW)급의 국내 최대, 세계 최대규모다. 

기존 석탄화력발전소보다 효율이 높고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적어 신에너지로 분류돼 왔다. 

기자가 보기에 더불어민주당의 논리가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니다. 국내 경쟁 발전사 조차 효율문제 등을 지적하며 실증 운영에 과도한 비용이 든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0년 넘도록 선진국의 따가운 견제눈총 속에 기술이전 하나 받지 못한 체 홀로 기술개발을 해 이 정도까지 오른 국내 독자기술을 경제성 논리로 주저앉히기에는 아쉽다는 생각이 든다.     

심지어 한전전력연구원에서는 지난해 9월 세계 최초로 IGCC와 연계한 친환경 연료전지기술을 개발했다는 발표를 하기에 이른다. 석탄가스화 기술과 연료전지를 결합한 융복합 연구가 활발히 수행될 것이란 보고서였다. 

석탄가스화를 통한 수소생산은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얻는 비용의 20% 정도 수준으로 저렴하고 석탄가스화 연료전지(IGFC, Integrated Gasification Fuel Cell)는 석탄가스화에서 생산된 합성가스를 고순도로 정제해 연료전지의 연료로 이용하는 차세대 융복합 기술이라는 것이다. 

수소경제를 외치는 상황에서 IGCC 연계 기술이 80% 이상 진전되고 있는데 이를 사장하자는 법안은 다시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