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만 본지 편집국장

내년부터 12cm급 고해상도의 항공사진, 정사영상 등 항공영상을 매년 촬영해 디지털 트윈국토 실현의 기반을 마련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일반적으로 항공사진은 항공기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해 국토를 촬영한 디지털사진이며, 정사영상은 촬영 당시 발생한 항공사진의 왜곡을 보정한 연속된 영상을 말하는데 디지털 트윈국토란 지상·지하·실내·공중 등 현실 국토와 똑같이 구현된 가상현실을 뜻하는 것이다.

국토지리정보원이 마련한 이번 계획은 최근 코로나 19 위기를 겪으며 우리 삶의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고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일환으로 모든 국토를 데이터로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국토를 실현하기 위해 기획됐다.

그동안 국토지리정보원은 우리나라 국토의 정확한 현황 파악과 변화상황의 모니터링, 그리고 국가기본도 수정 등에 활용하기 위해 전 국토에 대한 항공영상을 촬영해왔으며, 공공·민간 분야에서 이를 활용해왔다.

사실 항공영상의 주요 활용분야는 국유재산관리시스템, 스마트팜맵, 국세행정시스템 등 공공업무 지원뿐만 아니라 포털 영상지도, 관광안내도 등 우리네 일상생활에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항공촬영기술의 발전과 관련 분야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항공영상의 해상도 및 품질 등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번 계획으로 내년부터는 항공영상의 촬영주기를 기존 2년에서 1년으로 단축해 최신의 항공영상을 제공하고, 디지털 트윈국토의 활용도가 높은 도시지역 항공영상 해상도를 2배가량 높여 고품질의 항공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향후 항공영상의 해상도가 12cm급으로 상향된다면 그동안 영상으로 도로만 식별 가능했던 수준을 넘어 가로등, 맨홀과 같은 도로시설물까지도 식별이 가능해짐에 따라 디지털 트윈,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국토변화 자동탐지 등 신기술과 접목해 다양한 4차 산업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

또한 촬영주기가 1년으로 단축된다면 하늘에서 바라보는 국토의 변화상을 매년 고해상도의 영상으로 보존함에 따라 보다 생생한 우리나라 국토의 역사를 기록하는 의미도 갖는다.

뿐만 아니라 공공분야에서는 대축척 수치지도 제작 및 불법건축물과 국유재산 관리 등 행정업무 수행을 위해 별도로 구축하던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매년 무상으로 공동 활용할 수 있어 기관별 중복투자 방지, 지자체 규모별 촬영주기 편차 감소, 행정효율 향상의 효과도 기대된다.

이번 계획을 총괄하는 국토지리정보원 관계자도 내년부터 구축되는 고해상도의 항공영상은 디지털 트윈 국토를 더욱 현실감 있게 구현해 스마트한 국토의 관리 및 운영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앞으로는 더 나아가 AI, 5G, IoT, AR, VR 등 4차 산업기술과 접목해 건설, 항공, 물류, 국방, 안전, 에너지 등 다양한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힘쓸 계획이라고 하니 그 기대감이 더 큰 이유가 아닐까?

이에 더해 디지털 트윈국토를 위한 3D 공간정보, 자율주행차를 위한 정밀도로지도 등 미래를 견인하는 공간정보 인프라도 내년부터 오는 2025년까지 한국판 뉴딜의 10대 대표과제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하니 이번 계획이 성공적으로 이뤄져 디지털 트윈국토 실현이 꼭 현실화 되길 바래본다.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