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스마트그린산단 실행전략' 발표
디지털전환, 에너지혁신, 친환경화에 중점

데이터 기반 '제조업 르네상스'를 목표로 했던 '스마트산단' 전략이 '스마트그린산단'으로 확대 추진된다. 현재 추진 중인 7개 스마트산단은 2025년까지 15개의 스마트그린산단으로 확대된다.

17일 산업부는 지역경제 신성장 거점으로서 '스마트그린산단 실행 전략'을 발표했다. 스마트그린산단은 이름 그대로 스마트산단에 '그린'이 더해졌다. 이는 제조업 중심 산업단지를 '디지털 전환'하는 동시에 '친환경화' 하겠다는 복안이다.

'스마트그린산단'은 지난 7월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 10대 대표과제 중 하나로 제시됐다. 여기엔 한국판 뉴딜 추진에 있어서 일자리 거점인 산업단지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작용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산업단지는 우리나라 제조업 생산의 67.3%, 수출의 67%, 고용의 49%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충격으로 산단의 생산, 수출, 가동률이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산단의 역할과 경쟁력 회복이 중요하다는 데 무게가 실렸다.

17일 산업부는 디지털인프라 구축, 저탄소 친환경 에너지전환, 인재 양성 및 일자리 창출을 핵심으로 한 '스마트그린산단 실행전략'을 발표했다./자료=산업통상자원부

지난 2018년 12월 정부의 제조혁신전략 보고회 이후 현재까지 7개의 스마트산단이 지정됐다. 2019년 2월 반월시화, 창원을 시작으로 같은 해 9월 남동, 구미, 그리고 올해 5월 대구, 광주, 여수 등이 추가됐다.

이번에 확대 추진되는 스마트그린산단은 산업단지의 3대 구성 요소인 '산업, 공간, 사람'을 중심으로 산업단지 현황을 재진단하고 실행전략을 다시 세운 결과다.

정부는 주력산업 침체와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산단의 가동률 하락, 화석연료 기반 에너지 공급구조에 따른 환경오염 및 다소비 저효율의 소비구조, 산단 내 인력 부족 및 창업 지원 미흡 등을 주요 배경으로 꼽았다.

이에 산업단지의 구조적 변화가 시급하고 기존 산단의 '디지털, 그린, 휴먼화'를 통한 전환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스마트그린산단을 추진하게 된 이유다.

이를 위해 정부는 산단별 특성에 따른 단계별 전략을 추진키로 했다. 스마트그린산단의 성공모델을 도출한 후 이를 전국으로 확산한다는 2단계 전략이다. 중앙, 지방, 산학연 간 협력도 강화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그린산단은 산업 측면에서 밸류체인 전단계에 걸친 디지털인프라(산업데이터 및 AI 기반)를 구축하고, 공간 측면에서 저탄소 친환경 산단으로 변화를 꾀한다. 그리고 인재 양성 및 일자리 창출이라는 휴먼 뉴딜도 포함했다.

특히 '그린 산단'이라는 특성에 걸맞게 산단 내 신재생에너지 확대 및 친환경 연료전환이 추진된다. 현재 7개 산단을 대상으로 2025년까지 소비전력 가운데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0.6%에서 10%로 끌어올리고 에너지효율을 16% 향상시킨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산단 내 태양광 설치에 대한 금융지원을 올해 1000억원에서 내년 2000억원으로 늘리는 한편 연료전지 등으로 지원 대상도 확대할 방침이다.

또 산단 내 집단에너지를 기존 고형연료에서 LNG, 연료전지 등 친환경 연료로 전환하고 연료전지 전환시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신재생에너지, 자원재활용 등을 위한 산단환경개선 펀드 사업도 확대한다. 현재 구미‧창원은 산단환경개선펀드(180억원)를 활용해 연료전지 발전사업(총 367억원)을 추진 중이다.

이 밖에도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해 산단 내 에너지관리시스템(FEMS,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등 디지털 기반 수요관리를 강화하고 에너지공기업을 대상으로 효율 향상 의무화 제도(EERS)를 도입키로 했다.

스마트그린산단_창원 에너지자립형 마이크로그리드/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정부는 산단 내 분산에너지 특구를 지정해 개방형 마이크로그리드도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분산에너지 특구는 산업단지, 재생에너지 집중지역(제주도, 해남 솔라시도, 신안 등), 구역전기 사업구역, 마을 단위 등 규모 및 특성별로 실증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말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 발표 및 2021년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가칭) 제정 등을 통해 분산에너지 특구를 비롯해 전력거래 특례 및 가상발전소(VPP) 등의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