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전력망 확보 위한 AMI 확대
분산형 에너지원 관심 증가
전력거래시장 개편 예고

정부가 2025년 친환경, 저탄소 전환을 목표로 추진 중인 한국형 그린 뉴딜이 구체화되고 있다.

그린 뉴딜은 도시공간생활 인프라의 녹색 전환,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등 3대 기본 방향을 토대로 사업이 추진된다.

이 가운데 정부는 저탄소, 분산형 에너지 확산에 가장 많은 사업비(35조 8000억원, 국비 24조 3000억원)를 배정했다. 핵심은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확산이다.

스마트 그리드로 인한 변화/출처=한국전력공사

특히 '스마트 그리드' 구축이 신재생 인프라 확산을 위한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스마트 그리드는 화석연료 중심의 중앙 집중형 발전을 신재생에너지 기반 분산형 발전으로 전환하는 게 핵심이다. 태양광 등 소규모 발전사업자 및 소비자 참여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보통신 기술(ICT)을 결합한 양방향 전력망을 갖추는 게 필수 조건이다.

'스마트 그리드'는 그린 뉴딜의 핵심 과제

정부는 이번 그린뉴딜의 세부 과제 중 하나로 스마트 전력망 확보를 위한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보급을 제시했다. AMI는 양방향 통신망을 이용해 전력사용량, 시간대별 요금 정보를 실시간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지능형 전력계량기다.

AMI는 실시간 에너지 정보를 제공해 소비자들이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계절별, 시간대별 차등 적용된 전기요금 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한전은 산업용 일반용 고압소비자만을 대상으로 계시별요금제를 적용하고 있지만 향후 스마트 전력망이 확대될 경우 주거용 전기에 대해서도 계시별요금제가 적용될 수 있다.

한전 산하 전력기반센터는 지난 7일 가정용 스마트전력 플랫폼 사업의 구체적인 안을 제시하며 AMI 기반 전력 서비스에 나선 상태다. 고압수전 아파트 40만호를 대상으로 스마트미터 교체, 양방향 통신설비, AMI 서버, 에너지서비스 시스템 등을 구축하는 내용이다.

가정용 스마트전력 플랫폼 개념도/출처=전력기반센터

AMI가 보편화될 경우 이를 토대로 새로운 사업 모델들이 생겨날 수 있다. 그동안 부진했던 소규모 전력중개 시장도 활성화될 전망이다.

정부는 지난해 2월 소규모 전력중개시장을 개설했지만 거래는 부진한 상황이다. KDB미래전략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실제 중개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사업자는 5개 업체(11.1MW)에 불과했다.

하지만 최근 태양광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늘고 있고 ESS·전기차 등 분산형 에너지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AMI 등 전력거래를 위한 인프라가 갖춰질 경우 전력 중개시장도 적잖은 변화가 예상된다.

소규모 전력거래 가시화... 전력시장 개편 예고

한국에너지공단은 올해 상반기 국내 태양광 설치량이 2.09GW로 반기 사상 최초로 2GW를 넘어섰으며 올해 태양광 설치량이 역대 최대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태양광 업계의 매출액, 영업이익도 크게 늘어 상반기에만 매출 3조 5919억원, 영업이익 172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 88.4% 증가한 수치다.

문제는 남아도는 에너지 관리에 있다. 다수의 사업자와 소비자가 전력을 사고파는 전력시장으로의 개편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현재의 전력계통은 연계 용량을 제한하고 있어 잉여전력이 방치되고 있는 상황이다.

미래 전력시장 변화 모습. 주1)에너지를 직접 생산하면서 소비하는 주체, 주2)개인 간 거래/출처=KDB산업은행

ESS, 전기차 등 나날이 증가하는 분산에너지자원을 감당하기도 어렵다. 이선화 KDB미래전략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분산에너지자원의 증가로 전력계통의 효율성과 안정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가상발전소(VPP)도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가상발전소는 다양한 분산에너지자원을 연결해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는 시스템이다. 이는 분산에너지자원 증가에 따른 소규모 전력거래에 유리하다.

다만 가상발전소가 구축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점도 많다. 이상적인 가상발전소 모델은 수요기반과 공급기반이 혼합된 형태이나 이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

2014년 수요자원 거래시장에 이어 2019년 소규모 전력중개시장이 개설된 상태지만 설비규모 등 정책적 차이로 인해 두 시장의 결합이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 태양광에 국한된 중개시장 참여 사업자를 확대하기 위한 법 개정도 필요하다.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