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규 의원, 책임 없다던 제조社, 안전보강·보상에 3천억 써

A사의 배터리가 설치된 ESS에서 발생한 화재 14건 전부가 동일공장, 같은 시기에 제조된 배터리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산업부는 당초 발표를 통해 배터리는 화재원인이 아니라고 밝혔지만 신뢰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 소속 자유한국당 이철규 의원(사진)에게 제출한 ‘ESS 화재 자료’에 따르면, 2017년 8월부터 2019년 9월 현재까지 발생한 26건의 화재 중 A사의 배터리가 설치된 ESS화재는 14건, B사는 9건, 기타 3건으로 나타났다.

이중 14건의 화재가 발생한 A사의 경우, 14건 모두가 A사의 중국공장에서 제작됐으며, 이중 13건은 2017년 4분기에 제작된 배터리를 장착한 ESS에서 발생했다. 이 제품은 현재 국내에 200곳에 설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리튬이온 배터리에 대한 위험성은 지난해 소방청에서도 지적했다. 지난해 8월 소방청이 산자부에 제출한 ‘ESS화재예방 종합대책’ 내용에는 ESS 화재 및 폭발의 주요 원인을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가연성가스로 지목했다.

산업부와 조사위가 보다 철저한 조사를 통해 화재원인을 밝혀야 했지만, 제조사의 책임만 면해준 모양새다. 또한, 조사위가 진행한 실증시험 중 일부는 A사의 계열사에서 진행됐다. 공정성에서 의문이 생기는 이유다.

ESS화재에 대응하는 제조사도 기존 대기업의 모습과는 상이하다. 산업부가 배터리결함은 화재원인이 아니라고 발표했지만, 산업부가 발표한 후속조치에 소요되는 대부분의 비용을 A사와 B사가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대책으로 내놓은 공통안전조치, 추가안전조치, ESS가동중단에 따른 손실비용 등 약 3,000억원 이상을 A사와 B사가 부담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산업부가 제조사에 면죄부를 주는 대신 대기업이 수습비용을 부담하기로 한 것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7일 열린 산업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정부의 발표이후에도 계속되는 화재로 인해 ESS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폭탄으로 인식되고 있다”며, “ESS의 신뢰성을 높이고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국회가 참여하는 재조사단을 구성해 화재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