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발전, 지역난방공사, 두산중, STX, GS EPS 등 터빈 독자기술 개발중

▲ 남부발전이 화이트리스트에 대비해 8일 대책회의를 하고 있다.

일본이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에서 우리나라를 제외한 가운데 발전사 등도 설비 국산화에 나섰다.

에너지효율이 10% 이상 향상된 복합화력을 주로 사용하는 국내 발전사들의 경우 사용 가스터빈의 70%를 미국, 독일 , 일본 등 외산으로 사용해왔다.

가스터빈 기술은 초고온 고압 연소가스에 의해 고속 회전 발전하는 장치로 발전 기자재중 가장 높은 기술을 요구한다. 가스터빈 시장은 2009년 기준으로 GE 41%, 지멘스 17%, 알스톰 14%, 미쯔비시 6% 등이 독점하고 있다.

국내에 도입된 가스터빈 제작사중 GE, 웨스팅하우스 등은 신규판매보다 판매된 가스터빈 설비의 운용, 보수 등 애프터마켓 사업이 더 큰 관심을 갖고 있다. 따라서 기술이전에 소극적이다.

두산중공업, STX엔진, 삼성테크윈, GS EPS, SK건설, STX중공업, 삼성물산 등이 가스터빈 생산 및 복합화력 건설에 참여한 이유다.

두산중공업은 2007년 미쯔비시와 기술제휴를 통해 대형가스터빈(180MW)을 생산하고 있고 GS EPS는 지멘스 기술을, 서부-삼성물산-현대산업개발은 자체 기술로 동두천 복합화력을 추진했다.

가스터빈 복합 해외 의존도는 50%로 가장 높고 이중 70% 이상은 터빈블레이드, 연소기부품 등이다.

이런 가운데 한국서부발전이 핵심부품 국산화에 근접했다는 내용을 밝혀 눈길을 끈다. 서부발전은 발전사 중 처음으로 국산화 관련 전담부서인 ‘국산화부’를 신설해 중장기 국산화 로드맵을 수립하고 이 로드맵을 토대로 지난해 국내외 발전시장의 미래 동향과 핵심부품 기술 트렌드, 국산화 현장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뒤 6500여건의 국산화 품목을 선정, 2030년까지 발전설비 외산 기자재, 원천기술 국산화 프로젝트를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술개발 난이도와 중요도가 높은 증기터빈 핵심부품과 미분기 등의 경우 R&D 국산화가 가능하다는 결론을 냈다. 또 주기적으로 현장 교체빈도가 높은 복합화력 발전용 필터와 밸브 등도 현장 국산화방식을 통한 개발이 가능하다고 진단했다.

전국에 11기의 열병합발전소를 운영중인 한국지역난방공사도 열병합발전소 가스터빈(MHPS) 소모품의 국산화를 적극 추진한 결과 약 900여개 품목의 국산화를 완료했고 향후 1300여개 품목으로 확대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역난방공사에 따르면 과거 열병합발전시설 핵심부품은 해당 원천기술을 보유한 미국 GE, 독일 지멘스, 일본 미쯔비스 등 해외제작사로부터 전량을 수입해왔지만 해외기술 의존도 심화에 따른 기술종속, 국부유출 및 기술자립도 저하 등의 문제가 늘 제기돼 지난 2013년 가스터빈 부품 국산화 연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10개 중소기업이 참여해 11건의 외산자재 국산화를 추진, 약 73억원의 외화절감 및 70여명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는 것.

중부발전도 지난 5일 긴급 현안 점검 회의를 열고 수출제한 조치에 따른 대비태세 점검과 향후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회의에서는 일본 제재 영향권 내에 있는 기자재 파악과 추가적인 재고 확보, 공급처 다변화 방안 등이 논의됐다.

이 회사는 기술본부장을 위원장으로 한 일본 경제 제재 관련 대응 태스크포스(TF)를 상시로 운영키로 했다. TF는 앞으로 기자재 구매 동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일본산 기자재 국산화에 집중할 예정이다.

같은 날 회의를 개최한 동서발전은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산학연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10개 R&D 과제 진행 상황을 점검했다.

남부발전도 지난 8일 본사 비전룸에서 긴급회의를 개최해 화이트리스트 제외 조치에 따른 파급영향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했다.

남부발전 안관식 기술안전본부장은 “과거엔 한일 간 기술격차로 터빈이나 발전기 등의 핵심기자재를 일본에서 조달했으나 지금은 국내기업도 제작능력을 충분히 갖췄다”면서 “이번 조치를 기회로 발전기자재의 국산화를 적극 추진하고 예비품 추가 확보, 국산제품 활용 확대, 수입선 다변화 등 적극적으로 대처하자”고 강조했다.

특히, 남부발전은 발전기자재의 국산화에 집중해 국내기업의 기술자립에 기여하는 한편, 국내경기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가치 창출에도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