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건설수주 전년비 13.3% 줄어 감소세 주도”

-경기 악화·대출 규제 등 수요 위축으로 매매가격 상반기에 이어 하락세 지속

-수도권 0.5% 하락·저가 매물 유입 제한 효과로 수도권 매매가격 하락폭 둔화

-지역 경기 어려움·미분양 증가 압력으로 지방 매매가격 하락폭 확대되며 0.9%↓

-전국 하반기 전세가격은 준공 누적 등으로 1.1% 하락, 연간은 2.5% 하락될 듯

2019년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5.8% 감소한 145조 5,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특히 하반기 수주가 전년 대비 13.3% 감소해 감소세를 주도할 전망이다. 이같이 건설수주가 전년 대비 5.8% 감소함에 따라 2017년 시작된 건설수주의 감소세가 3년 연속 지속될 것이란 예상속에 2019년 건설수주액은 2014년 107조 5,000억원 이후 5년래 최저치를 기록해 2015년 이후 지속된 건설수주 호황국면이 종료될 전망이다. <편집자 주>

올해 국내 건설수주가 감소하는 주된 원인은 공공 수주가 도시재생사업 및 생활SOC 발주 증가 등의 영향으로 증가하겠지만, 민간 수주가 건축부문을 중심으로 상당 수준의 감소세를 이어가기 때문이다.

발주 부문별로 공공 수주는 도시재생사업 및 생활 SOC 발주 증가, 전년도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9.8% 증가할 전망임이다. 반면 민간수주는 주택 수주를 비롯한 건축 수주가 부진한 영향으로 전년 대비 11.8% 감소할 전망이며, 2014년 이후 5년래 최저치를 기록해 부진할 것으로 보인다.

공종별로는 토목 수주가 정부 SOC 예산 증가, 대규모 민자 토목사업 발주, 민간의 일부 대형플랜트 발주 등 영향으로 전년 대비 5.1% 증가할 전망이지만 주택 수주의 경우 주택·부동산 규제가 강화된 가운데, 신규 입주물량 과다, 거시경제 회복 부진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2.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주거 건축 수주는 거시경제 둔화, 오피스텔 공사 발주 감소, 전년도 수주 호조세로 인한 통계적 반락 효과 등의 부정적 요인과 도시재생사업 및 생활SOC 투자 확대, 정부의 기업의 투자 지원책 발표 등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전년 대비 8.9% 감소할 전망이다.

2019년 건설 투자는 전년 대비 4.1% 감소해 2018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올해 실질 건설투자 금액은 2015년 이후 4년래 최저치를 기록하며 부진할 전망이다.

선행지표인 건설 수주의 감소세가 2019년에도 이어짐을 감안하면, 2020년에도 건설 투자의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한해 동안 건설경기의 하락세가 매우 빠르게 진행돼 거시경제와 일자리에 미치는 충격이 클 전망이므로 적절한 정책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건설 투자가 4.1% 감소함에 따라 2019년 경제성장률이 0.6%p 하락하고, 취업자 수는 13만 8,000명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는데 건설경기 경착륙 방지를 위해서는 도시재생사업, 생활SOC사업, 민간투자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비롯해 기존에 발표된 투자 활성화 대책들이 신속히 추진되는 것이 중요하다.

2020년 정부 SOC 예산의 증액 편성도 필요하며, 규제 강도 조절을 통해 주택투자의 급락세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런 가운데 상반기 주택시장은 매매가격이 0.79% 하락하고 매매거래 또한 30.4% 감소해 전국적으로 부진했다. 가격 하락 폭은 기타지방 아파트가 가장 컸고 거래량 감소 폭은 서울지역이 가장 컸다.

1~5월 수도권 매매가격은 0.85% 하락했고, 지방광역시 0.39% 하락, 기타지방 0.94% 하락했다. 전국 전세가격은 1.19% 하락, 월세가격은 0.52% 하락함에 따라 월세가격은 2016년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주택 매매거래는 수도권 43.4%, 지방광역시 21.5%, 기타지방은 8.4% 드이 줄어 들었다. 이같이 공급시장의 모든 지표 감소했지만, 수도권 인허가만 유일하게 16.4% 증가했다.

하반기에는 거시경제와 주택 수급의 영향이 크고 하방압력 변수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수출, 내수, 투자 등 트리플 악재 속에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유동성 확대 가능성이 커졌다. 다만 경기 악화에 따른 가계 지불능력 위축으로 인해 상·하방 요인이 모두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기준금리 인하는 신규 수요의 유입에 영향을 주기보다는 기존 주택 보유자들의 가격 하락 압박을 막는 수단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일부 지역에서 가격 흐름의 변화가 포착됐지만, 각종 규제로 인해 추가 수요 유입 여력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비주거용 상품의 리스크가 가장 클 것으로 보인다.

올해 인허가와 분양시장은 시장의 전반적 위축으로 전년 대비 13% 이상 감소할 것으로 보이는데 공공부문 수요는 유지되지만, 민간부문 감소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인허가는 전년 대비 13% 이상 감소하는 48만호로 예상되고 올해 분양은 2018년 대비 9% 내외 감소하는 26만호로 전망된다.

올 하반기 전국 매매가격은 1.6%, 전세가격은 2.5% 동반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경기 악화 및 대출 규제 등 수요 위축으로 상반기에 이어 하락세가 지속되는 것이다.

하반기 매매가격은 수도권은 상반기보다 하락폭이 줄어든 0.5%, 지방은 하락폭이 늘어나 0.9%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고 전세가격은 시황이 어려운 부산, 경남에서 준공물량이 증가하며 하반기에 1.1%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연간으로는 2.5% 하락해 15년 만의 최대치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서울 강남권의 재건축 및 신축 아파트 중심으로 수요 변화 조짐이 있지만 각종 규제로 인해 추가 수요 유입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며, 2018년 4분기 이후 이어지고 있는 하락장이 2020년까지 이어질 가능성 커 이에 걸맞은 중장기적인 리스크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전국적으로 주택시장 침체가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수도권 외곽지역과 지방 시장의 어려움이 앞으로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중장기적 대응이 긴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정책적으로는 수도권과 지방 시장이 유리되고 있는 현재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사업자는 사업 구조 다각화를 통해 위험을 분산시키고, 사업 진행 각 단계에서 벌어질 수 있는 리스크를 최소화해 총 사업 기간을 단축시키는 전략 등이 중요하다.

또 선도시장의 주택가격 상승세 전환에 대해서는 정부가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규제 강화를 시사함에 따라 사업계획 시 예상되는 정책을 전반적으로 고려해 유연하게 반응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