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러시아 국영전력회사와 전력계통연계 MOU 체결
전력연계 타당성 확인후 가스-철도 연계 방안 구체화 기대

▲ 동북아수퍼그리드 개념도

문재인 대통령아 6월22일 러시아를 방문해 푸틴대통령과 가스 전력 철도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있는 가운데 한국전력(사장 김종갑)이 러시아 국영전력회사인 로세티(사장 파벨 루빈스키)와 '한-러 전력계통 연계를 위한 공동연구 MOU'를 체결했다.

한-러 정상회담 경제사절단 일원으로 참가하여 추진된 이번 MOU는 문 대통령 방러 첫날인 6월22일 러시아 모스크바 롯데호텔에서 양사 경영진,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혔다.

이번 MOU는  한-러 간 전력계통을 연계하고 러시아 천연자원을 공동으로 개발 활용하기 위해 양국간 전력망 연계에 대해 공동으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시행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날 MOU는 배전망 시범사업을 위한 공동연구도 포함하여 앞으로 한전의 선진 배전망 기술과 노하우를 러시아에 전수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MOU체결로 인한 공동연구 결과 전력연계의 기술성, 경제성이 입증된다면 한-중 연계사업과 함께 한-러 연계사업도 추진에 탄력을 받으며 동북아의 청정에너지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가스-철도 연계방안을 구체화할 명분이 마련되는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한전은 동북아 수퍼그리드 추진을 위해 지난해 중국 SGCC, GEIDCO와 한-중 전력연계 사업개발을 위한 MOA를 2017년 12월 체결한 바 있으며, 현재 한-중간 정기적인 회의와 검토를 통해 전력연계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다.

러시아 중국 몽골을 잇는 남북 에너지 경제교류를 기반으로 하는 동북아 수퍼그리드는 김대중 노무현 정부 당시 밑그림이 그려졌으나 이명박 박근혜 정부에서 대북 교류가 중단됨으로써 더이상 진척을 보지 못하다 지난해 문재인 정부가 출범함으로써 다시 빛을 보게 됐다.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하는 동북아 수퍼그리드는 ▲국가 간 전기요금차를 활용한 수익창출 ▲동북아시아 지역의 재생에너지 공동활용 ▲국가간 전력연계로 동북아 정세 안정에 기여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문 대통련은 지난해 9월 통방경제포럼 VIP 기조연설을 통해 "큰 비전을 갖고 동북아 수퍼그리드 구축을 위한 협의를 시작할 것을 동북아 모든 지도자들에게 제안한다"고 밝힌 바 있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동북아 수퍼그리드는 ▲고비사막 지역의 풍력-태양광 재생에너지를 중국→한국→일본으로 연계하는 방향과 ▲극동시베리아 수력, 천연가스로 생산한 전력을 러시아→(북한)→한국으로 연계하는 방향으로 추진중이다.

해외 수퍼그리드는 유럽연합이 대표적으로 2000년 이전에는 전력을 수출하기 위한 국가 간의 전력계통 연계가 위주였으나 21세기 들어 현재는 신재생자원 공동개발, 활용, 에너지 협력 등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유럽연합의 경우 회원국 36개국에서 400개의 송전선로로 국가간 전력 연계가 이뤄지고 있다.

유럽연합(EU)과 유럽계통운영기구(ENTSO-e)가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진행중인 사업은 북유럽 수퍼그리드, 남유럽의 데저텍(DESERTEC) 등이 있다.

이외에도 동남아 아세안 파워그리드(ASEAN Power Grid), 아프리카 Grand Inga 및 북미 등 전세계적으로 80여개국에서 250GW 이상의 국가간 전력이 연계되었으나 동북아의 경우 지형적, 정치적 여건 등으로 국가간 연계가 안된 상태다.

그 원인은 남북한간 단절로 인한 것으로 현재 우리나라는 지정학적으로 에너지섬에 다름아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