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ergy Tech+ Forum' 미래 에너지기술 정책방향 밝혀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해 핵심 에너지기술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하고 청정에너지기술, 핵심원천기술, 에너지신산업 실증프로젝트을 추진한다. 올해부터 매년 예산 규모를 확대한다는 게 산업부의 정책 방향이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11일 서울 쉐라톤 팔래스 호텔에서 '에너지 테크플러스 포럼(Energy Tech+ Forum)'를 개최하고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해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저장장치(ESS), 신재생발전 뿐만 아니라, 이를 활용한 제로에너지빌딩, 스마트홈, 전기차 등 다양한 에너지신산업 분야의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위한 중장기적인 집중적으로 투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4차 산업혁명의 격변기에 미래 에너지산업의 비전과 전략, 기술 트렌드를 논의하는 자리로 청정에너지, 전력시장, 에너지신산업 기술융합 등 분야별 산·학·연 전문가 350여명이 참석해 에너지산업의 새로운 비전과 전략을 공유하고 중·장기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했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주형환 장관은 "환경 · 효율 · 미래먹거리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신산업이야말로 4차 산업혁명시대 최적의 에너지 솔루션이라는 판단 하에, 그동안 에너지신산업을 우리나라의 차세대 먹거리로 육성하기 위해 규제완화와 집중지원을 통한 초기시장 창출과 세계일류의 보급기반 마련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해 왔다"며 "이제는 원천기술 개발과 핵심기술의 대체를 통한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진정한 승자로 발돋움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주 장관이 밝힌 '에너지기술 정책방향'을 보면 우선 올해는 전년대비 36% 증가한 약 7600억원의 공공(정부+공기업) R&D 예산을 에너지신산업 육성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스마트그리드, 수요관리 등 청정에너지 분야에 집중 지원하고 향후 5년간 청정에너지부문 공공 R&D 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려 2021년에는 2016년(5600억원) 대비 2배 증가한 약 1조1200억원으로 확대된다.

또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2017년 약 30%인 핵심원천기술*에 대한 투자 비중을 2018년 40%로 확대하고 핵심원전기술로 태양광의 경우 새로운 물질을 활용해 효율을 높인 신개념 태양전지, 차세대전지의 경우는 전기를 생산하고, 남은 수소를 재활용하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등의 분야에 집중한다. 전력, 석유, 가스 등 전통 에너지산업과 AI, IoT, 빅데이터 등을 융 · 복합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그리고 Track-Record 축적 및 수출산업화를 위해 올해 에너지신산업 실증프로젝트에 지난해 대비 32% 늘어난 1천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초고압직류송배전(HVDC) 시스템, 신재생-ESS 계통연계,  동남아 수상 태양광, 개도국 마이크로그리드 등 실증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주 장관은 축사를 통해 "우리나라가 에너지신산업의 선도국이 되고, 우리 기업들이 미래 에너지문제의 핵심 솔루션을 가진 'Global Key player'가 될 수 있도록, 민·관이 한마음으로 부단히 노력하자"고 밝혔다.

한편 이날 포럼에서 국내의 저명한 에너지 및 미래 전문가들이 연사로 나서 4차 산업혁명시대 에너지산업의 다양한 변화에 대해 ▲분산 · 소형화 등 전력산업의 다변화 ▲빅데이터를 활용한 에너지산업의 구조 고도화 ▲에너지의 통합·최적관리를 위한 혁신 플랫폼 구축 ▲H/W와 S/W기술의 융합 및 에너지서비스산업의 중요성 등이 논의됐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